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11.5℃
  • 맑음강릉 14.9℃
  • 맑음서울 11.5℃
  • 맑음대전 14.4℃
  • 맑음대구 14.9℃
  • 맑음울산 15.3℃
  • 맑음광주 14.4℃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3.0℃
  • 맑음제주 16.9℃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13.2℃
  • 맑음금산 13.8℃
  • 맑음강진군 16.4℃
  • 맑음경주시 15.1℃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의회

박미정 광주광역시의원, “광주상수도본부 통합청사 부지 방치·본부 이원화 심각”

115억 들여 매입한 북광주우체국, 리모델링 예산 없어 4년째 방치

 

인사이드피플 김재윤 기자 |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조직 통합을 위해 115억 원에 매입한 (구)북광주우체국 건물을 4년째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미정 광주광역시의원(더불어민주당·동구2)은 10일 광주상수도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청사 통합 필요성을 인정하고도 예산 계획 없이 건물만 사놓은 것은 행정낭비” 라며 “이원화된 구조로는 행정효율은 떨어지고 시민 불편만 키우고 있다”고 질타했다.

 

현재 상수도본부의 조직 일부는 남구 덕남정수장과 동구 용연정수장으로 나뉘어 있고, 같은 부서 내에서도 팀이 서로 다른 청사에 흩어져 있어 부서 간 협업과 업무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특히 경영부 내에서도 총괄기획팀은 덕남정수장에, 요금정책팀과 재무팀은 용연정수장에 위치해 있으며, 기술부와 수질연구소는 덕남정수장에, 정수사업소와 수도사업소는 서구 KDB빌딩과 각 구별 사업소로 분산되어 있다.

 

상수도본부는 2020년 덕남정수장으로 이전한 지 1년 만에 조직 통합을 명분으로 북광주우체국을 115억 원에 매입했지만, 리모델링·내진보강 등에 추가 비용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4년째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구)북광주우체국은 매입 당시 10년 이상 공공청사로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수의계약이 체결돼, 단기간 내 매각이나 다른 용도로의 활용도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상수도본부는 임차 중인 KDB빌딩 임대료(연 5억 원, 보증금 12억 원)를 감축하기 위해 (구)북광주우체국 건물 1~2층을 일부 리모델링 후 부분 입주를 검토 중이다.

 

박미정 의원은 “상수도본부 통합청사는 단순한 공간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수돗물 복지와 직결된 조직 운영 효율성의 문제”라며 “광주시는 즉시 활용계획을 확정해 청사 이원화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구)북광주우체국뿐 아니라 (구)적십자병원, 신양파크호텔 등도 수백억 원을 들여 사놓고 활용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며 “광주시는 공유재산 활용계획과 재원조달 방안을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구)북광주우체국 매입 사업은 총사업비 144억 원(부지매입 115억, 공사비 26억, 설계·감리비 3억) 규모로 추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