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피플 김재윤 기자 | 원전 2~3기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과 영흥화력의 친환경 연료 전환 추진 등 인천이 대한민국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관련 산업을 이끌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수도권 최초의 ‘(가칭)인천에너지고등학교’ 설립이 본격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자중기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인천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2028년 3월 개교를 목표로 관내 특성화고 중 한 곳을 에너지 분야 맞춤형 고등학교로 전환할 계획이다.
인천에너지고 설립은 지역의 에너지 대전환 흐름에 발맞춰, 산업 현장이 필요로 하는 실무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현재 인천 앞바다에서는 4개 사업자(▲굴업풍력개발 ▲한국남동발전 ▲오스테드코리아 ▲오션윈즈)가 총 8개 프로젝트, 3,414MW(약 3.4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다. 이는 원자력발전소 2~3기에 해당하는 대규모다.
특히, 굴업도해상풍력(255MW)은 최근 환경영향평가를 완료했으며, 오스테드가 추진하는 1‧2호기(총 1,395MW)도 환경영향평가 심의가 진행되는 등 사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인천은 영흥화력발전소의 단계적 연료 전환과 함께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대규모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는 수많은 전문 기술 인력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인천시교육청은 올해 안에 대상 학교 선정을 마무리하고, 2026년부터 학과 개편과 교육과정 개발, 첨단 실습 환경 구축 등의 준비를 거쳐 2028학년도부터 신입생을 모집할 방침이다.
인천에너지고가 설립되면 학생들은 급변하는 미래 에너지 산업에 특화된 전문 교육을 받게 된다. 이는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에너지 분야 특성화고는 전남·울산 등 전국에 5곳이 있지만, 수도권에는 아직 이러한 학교가 없어 인천에너지고가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허종식 의원은 “인천은 해상풍력 발전의 최적지이자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도시”라며 “에너지고 설립은 우리 청년들이 인천의 미래 먹거리 산업을 이끄는 주역으로 성장하는 의미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 의원은 “신재생에너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학교에서 양성된 인재가 실질적인 청년 일자리로 이어지도록 꼼꼼히 챙기겠다”며 “인천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미래 에너지 특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