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피플 김재윤 기자 | 안동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문화복지정책연구회는 지난 8월 7일 안동시의회 2층 회의실에서 '안동시 위기청소년 보호 및 통합지원체계 구축 방안 연구' 정책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복합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위기청소년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안동시 위기청소년의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 내 유관기관 간 연계 및 대응 역량 강화를 통해 예방부터 발견·개입·회복에 이르는 통합지원체계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날 보고회에는 문화복지정책연구회 회원을 비롯하여 연구수행기관 관계자, 안동시 관련 부서 공무원, 관내 중·고등학교 교사와 학생, 안동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해 다양한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위기청소년 보호 및 지원 전문인력의 부족, 학교 밖 위기청소년 보호에 대한 문제, 병원 연계의 어려움, 위기청소년 보호와 상담을 위한 전담 시설과 공간 문제 등이 논의됐다.
또한 관계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명확한 역할 분담, 부모와 동시 상담의 필요성 등 현실적인 대안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우창하 회장은“바쁜 일정 속에서도 자리를 함께해 주신 참석자 여러분과 사전인터뷰에 응해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오늘 중간보고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보다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더불어 “이 연구가‘탁상공론’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너무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기보다 우리시의 실정에 맞게 선택과 집중을 해 달라”라고 연구수행기관에도 당부의 말을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경우 행복지수는 OECD 국가들 중 최하위인 반면, 자살률은 최상위에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과도한 학업 경쟁과 입시 부담, 소셜미디어를 통한 비교와 경쟁 심화, 정서적 지지 부족 및 사회적 관계 어려움 등을 꼽을 수 있다.
최근 청소년 문제의 양상이 복잡해짐에 따라, 위기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보호와 개입을 통해 회복으로 이끄는 지역사회의 통합적 대응체계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