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피플 김재윤 기자 | 경상남도의회 정재욱 의원(국민의힘, 진주1)은 7월 9일 제42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최근 진주를 비롯한 도내 곳곳에서 반복되고 있는 반려동물 장묘시설 갈등을 더 이상 단순한 님비(NIMBY)로만 치부할 수 없다며, 구조적 원인에 대한 실질적 해법과 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현재 경남혁신도시가 자리한 진주 충무공동과 문산읍 일대에서 추진되던 반려동물 화장장 설치가 악취·환경오염·분진 등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로 수개월째 갈등이 이어지고 있으며, 주민들의 피로감과 불안감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의원은 “이제는 이 문제를 주민들만의 짐으로 남겨둘 수 없다”며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차원의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의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이미 1,500만 명을 넘어섰고, 경남에서도 22만 마리 이상이 주민과 함께 삶을 나누고 있다.
그러나 이별의 순간을 품어줄 장례 인프라는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정 의원은 “반려동물은 더 이상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이자 친구”라며, “그 마지막 순간조차 존중받지 못하는 현실을 더는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또한, 대안으로 일부 도입되고 있는 이동식 화장서비스에 대해서도 접근성은 높이지만, 도심지에서 운영될 경우 오히려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으며, 간이 장비의 한계로 존엄한 이별과 추모의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도내 반려동물 장묘시설은 총 9곳 중 8곳이 동부권에 편중되어 있어, 진주·하동·거창 등 서부권 주민들은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불법 매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 의원은 “필요하지만 우리 동네는 안 된다”는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공이 직접 부지 발굴과 입지 조정에 앞장서고, 주민 수용성을 충분히 고려해 갈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장묘시설을 단순한 혐오시설이 아니라 추모·교육·휴식 기능이 결합된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시켜 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고,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 밖에도,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상지 공모형 민간투자사업’ 방식을 적극 도입해 공공의 재정부담을 덜고 지속가능성을 높이며, 민간과 공공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끝으로 정 의원은 “경남도가 주민 갈등을 책임 있게 보듬고, 반려인과 비반려인이 함께 이해하며 공존할 수 있는 성숙한 지역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