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피플 심정보 기자 | 구미시가 농식품 수출 실적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경북도 내 1위에 올랐다. 2024년 농식품 수출액은 9천4백만달러로 2023년(6천390만달러) 대비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공식품 수출이 전체 실적의 73%를 차지하며 구미가 K-Food의 중심지로 주목받고 있다. 주 수출품은 △라면(5,174만달러) △소스류(883만 달러) △냉동김밥(808만달러) 순이다.
이러한 성과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행정조직 개편을 통해 정책 개발 기능을 강화하고, 전체예산 중 농업예산은 9.98%(1,865억원)를 편성하여 투입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의 뒷받침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고소득작물 전환으로 농가 소득 증대
시는 기술 보급을 통해 ▲아열대 작물인 만감류(천혜향, 레드향 등) 재배에 성공해, 현재 지역 5개 농가(약 1.69ha)에서 연간 9톤(천혜향 4톤, 레드향 5톤 등)을 생산하고 있다. 올해는 9억 6천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아열대농업 활성화를 지원 중이다. 또한, ▲고대 중국 황실에 헌상되던 귀한 과일인 ‘하미과멜론’은 2024년 시험재배에서 맛과 품질을 검증받았으며, 현재 예산 5억 원으로 25개 농가(약 8ha)에서 본격 재배에 돌입했다.
밀·콩 이모작 중심의 ▲밀 밸리 특구 조성을 통해 벼재배 대비 1.9배 높은 농가수익을 창출했다. 특히 2024년도에는‘경북 최초 밀 제분공장’을 구축하여 토종밀가루를 생산하고 지역 고유브랜드‘구미밀가리’를 출시했으며,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 155톤을 기록하는 등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시는 지역 제과・제빵업체 13개소와 협력해 생산-가공-유통 패키지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이는 지역 상생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가공식품 산업 육성으로 농업의 가치사슬 확장
농산물생산과 판매를 넘어 농업에 부가가치를 입히기 위해 시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3월 개강한 농업대학에서는 ▲농식품가공과정을 개설했으며, 농업인 40명을 대상으로 가공기술분야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지난 7월 선산읍 일원에 ▲농산물가공기술센터를 개소해 가공기술의 확산과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센터 내에는 건·습식 가공실과 포장실, 68종 100대의 농산물 가공 기계를 갖췄으며, 농가 단독으로는 마련하기 어려운 고가 장비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제품 단계에서 상품화까지 농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 전 생산과정을 지원하며, 농업인의 소득 다변화 기반을 마련했다.
◇ 농산물 판로 확보로 농가 경쟁력 강화
지난 2023년 4월에 임시 개장한 ▲구미시로컬푸드직매장이 개장 2년 2개월 만에 누적매출 100억원을 돌파했다. 지역농가가 당일 생산한 농산물을 직접 공급하는 유통망은 평균 유통 수수료를 최대 10%까지 절감하며 농민 소득 증대와 소비자 가격 안정화를 동시에 이뤄냈다. 현재 439개 농가가 농산물을 공급 중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로컬유통망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10월, 서울역 광장에서 개최된 ▲'구미 로컬푸드페스타'는 첫 회임에도 불구, 약 2억원의 판매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수도권 에 구미 농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구매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올해도 10월 1, 2일 양일간 서울시청 광장에서‘구미밀가리’,‘구미한우’,‘G-푸드’ 등 구미 대표 농식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 농식품기업협의체'G-Food'협력으로 해외 수출 확장
식품제조・가공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업체 63곳은 2024년 1월 ▲ 농식품기업협의체'G-Food'를 결성했다. 상호협력 강화를 통해 해외 진출을 추진해 온 결과, 지난해 4월 협의체에 소속된 4개 기업이 사이판, 괌 등지로 총 10억원 상당의 수출 성과를 달성했다.
이 외에도 시는 식품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해 ▲수출농식품 안전성 제고 지원(2억4600만원), ▲무역 사절단 파견(1억5000만원), ▲수출농식품 브랜드 경쟁력 제고 지원(1천600만원), ▲푸드테크 스마트제조기반구축사업(사업비 58억원)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하반기에는 중소기업 판로개척을 위해 미국·캐나다, 괌 무역사절단 파견도 계획돼 있다. 이를 통해 구미시는 G-Food의 글로벌 진출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시가 보유한 농업과 전자산업의 강점을 활용해 원물 생산부터 가공까지 농식품 분야의 부가기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28년 개소 예정인 한국식품연구원 경북본부는 지역 농업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