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7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지역

<대구> 대구 최초로 7세기 초반 제작 신라 목간(木簡) 출토

28일 진행된 대구 북구 팔거산성 신라목간 출토 현장. 최혁규 인턴기자

28일 진행된 대구 북구 팔거산성 신라목간 출토 현장. 최혁규 인턴기자


대구에서는 최초로 7세기 초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목간(木簡)이 출토됐다.

출토지인 대구 북구 팔거산성이 신라시대 당시 요충지였다는 사실이 드러나 고고역사학계의 관심이 쏠린다.


화랑문화재연구원은 28일 팔거산성에서 현장설명회를 통해 목곽 집수지 내에서 출토된 목간을 공개했다. 목간은 종이 발명 이전 문자 기록을 위해 죽간과 함께 사용되던 목편이다.

팔거산성은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정상 부근에 삼국시대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으로, 대구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돼 있다.


이번에 출토된 목각 11점 중 7점에서 글자가 보이고, 그 중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간지와 곡식 이름도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목간에 새겨진 간지는 제작 시점을 추정케 한다. 임술년과 병인년이라 적힌 목간 제작 시기는 602년과 606년으로 추정된다.


목간에 적힌 내용을 분석한 결과 팔거산성이 신라의 행정·군사적 요충지였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간지에는 보리와 벼, 콩이라는 곡식 이름이 등장하는데, 이는 당시 팔거산성에 물자가 집중됐음을 보여준다.


7세기 초는 백제가 본격적으로 신라를 침공하는 시기로, 국제 정세 속에서 신라의 서쪽지역 방어가 중요해져 수로와 육로를 통제하던 팔거산성이 신라시대 당시 요충지였음을 뜻한다.


28일 출품된 팔거산성 신라목간. 최혁규 인턴기자

                       28일 출품된 팔거산성 신라목간. 최혁규 인턴기자

 

발굴을 담당한 오승연 화랑문화재연구원장은 목곽 내에서 목간이 나온 점을 주목했다. 오 원장은 "물을 모으는 집수지 99%가 돌로 만들어져있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번 목곽 집수지는 드문 유물"이라며 "특히 신라 목곽 집수지는 지난 10년전쯤 발견된 문경 고모산성 목곽 이후 두 번째 발견"이라고 했다.


주보돈 한국 목간학회 명예회장(경북대 명예교수)는 "목간의 용도는 알 수 없지만 여기에 사람들이 주둔했고 이를 위해 곡식이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생각한다"며 "아직 이뤄지지 않은 나머지 발굴을 통해 전체적인 용도를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향후 발굴에 대해 이종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소장은 "목곽으로 사용된 나무를 문화재청으로 옮겨 예전 신라시대 환경을 연구할 중요한 사료로 이용할 것"이라고 했다.<매일신문 기사>